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TDK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TDK(TDK Corporation)
TDK(TDK Corporation)
이시구로 시게나오(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 TDK Corporation 사장

TDK(TDK Corporation)는 자성(磁性) 재료인 페라이트를 기반으로 소프트 페라이트의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1935년 12월 7일 설립되었다. 본사는 일본 도쿄에 있다. 2021년 3월 통계에 의하면 회사 총자본금은 32,641,976,312엔이고 매출은 1,479억 엔이다. 관련 임직원은 129,284명이고 대표이사 사장은 이시구로 시게나오(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이다.

개요[편집]

TDK는 주로 산업용 센서, 산업용 커넥터, 산업용 전력, 자성(磁性)제품과 에너지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1935년에 도쿄공업대학 출신의 카토(加藤, かとう)박사와 타케이(武井, たけい)박사가 꾸린 전기부품을 제조하는 벤처기업으로 시작하였으며, 회사명 TDK는 T:도쿄(Tokyo), D:전기(Denki), K:화학(Kagaku)의 일본어 발음에서 지어진 것이다. 초창기에는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등 기록매체의 화학소재를 개발하였으나 2007년에 자회사인 이메이션(Imation)사로 모두 업무 이전을 시키고 현재는 특수 화학소재와 차량용 전장(電場)부품과 리튬이온배터리 등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TDK는 전기차와 차량용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인 전고체배터리에 세계 최초로 세라믹을 적용하여 신제품을 개발하였다. IoT 제품용과 전동 공구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는 이미 판매 중이며, 전기차용은 저가화 연구와 양산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TDK의 제품군은 다양한데 센서와 센서 시스템 및 전원공급 장치 그리고 세라믹, 알루미늄 전해 및 필름 커패시터, 페라이트 및 인덕터, 고주파 제품, 피에조와 수동형구성 등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품은 TDK, EPCOS, InvenSense, Micronas, Tronics 및 TDK-Lambda 제품 브랜드의 방식으로 시장에 출시되고있다. TDK의 추가 주요 제품군에는 자성(磁性)응용 제품, 에너지장치 및 플래시메모리 응용 장치가 포함된다. TDK Corporation는 페라이트 관련 전자 부품과 더불어, 과거에는 비디오 테이프, 아날로그 오디오 테이프,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 각종 미디어도 제조 및 판매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광범한 전자 부품, 전자소재, 태양광,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주력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해외를 포함한 M&A(기업의 매수와 합병)도 활발히 진행하였다. 해외 매출 비율이 90%를 넘으며, 해외 주주 비율도 40%에 달한다. 일본의 소비자들 인상에는 각종 기록 미디어 브랜드라는 인상이 강하였지만 사실 2007년에 이미 기록 미디어 판매사업을 미국 IMAITION사에 양도했다.

현재 HDD용 헤드 부품 제조 규모로는 일본 최대기업이며 2008년 알프스전기가 동 분야에서 철수하였기에, HDD 제조사 이외에 HDD용 헤드를 제조하는 유일의 제조사가 되었으며 OEM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30%를 넘고 있다. 그 밖에 HDD용 서스펜션, 정밀가공부품 그리고 페라이트와 자석(페라이트 자석, 희토류 자석), 전자 실드시트도 제조 및 판매한다. 특히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로는 글로벌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며 고주파수 모듈 등 통신 부품도 제조한다.[1]

주요 연혁[편집]

  • 1930년 : 페라이트의 발명.
  • 1935년 : 독일에서 TV 방송이 시작/카토(加藤, かとう)박사와 타케이(武井, たけい)박사가 페라이트 특허를 취득/도쿄 전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東京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를 설립.
  • 1937년 : 카타마공장(蒲田工場) 건설 완료.
  • 1939년 : 해군기술연구소(海軍技術研究所)에서 페라이트 코어를 선박무선통신용(船舶無線用)으로 정식사용.
  • 1940년 : 아키타 현(秋田県) 평택(平澤町)에 분 공장 신설
  • 1951년 : 흑백 TV 편향 요크용 코어(偏向ヨーク用コア) 출시, 평택 공장(平澤工場)에서 원통형 세라믹 콘덴서(並形円筒セラミック コンデンサ) 생산을 시작.
  • 1953년 : 자기(磁気) 테이프 "싱크로 테이프"를 판매.
  • 1954년 : 세계 최초의 트랜지스터 라디오(トランジスタラジオ)를 판매.
  • 1955년 : 원판형태(円板形) 콘덴서 아르콘(アルコン)을 판매.
  • 1956년 : 이치카와 공장(市川工場) 건설.
  • 1960년 : TDK가 최초로 바륨 페라이트 자석(バリウムフェライト磁石)을 판매.
  • 1962년 : 자기 드럼 용(磁気ドラム用) 페라이트 헤드(フェライトヘッド)를 판매.
  • 1966년 : 싱크로 카세트(シンクロ カセット) 테이프를 판매.
  • 1968년 : 대만 TDK (TDK Taiwan Corporation) 설립
  • 1971년 : 적층 세라믹 칩 콘덴서(積層セラミックチップコンデンサ)를 판매.
  • 1972년 : 윈체스터 헤드(ウィンチェスターヘッド)를 개발.
  • 1973년 : 자기테이프용(磁気テープ用)의 산화철 자성 재료 애빌린(アビリン)」 개발.
  • 1977년 : 소형라디오에 적층 세라믹 칩 콘덴서(積層セラミック チップコンデンサ)를 사용.
  • 1978년 : 베타 비디오(ベータビデオ ) 테이프를 판매.
  • 1980년 : 적층 칩 인덕터(積層チップインダクタ)를 판매.
  • 1982년 :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
  • 1983년 : 회사명을 TDK 주식회사 (TDK Corporation)로 변경.
  • 1986년 : 홍콩의 자기헤드(磁気ヘッド) 제조 회사 SAE Magnetics (HK) Ltd.를 인수.
  • 1990년 : 치바현 이치카와 시(千葉県市川市)에 기술센터 완성.
  • 1994년 : 중국 샤먼에 현지 법인 설립/고밀도 기록 AMR 헤드 판매.
  • 1998년 : GMR 헤드 판매.
  • 1999년 : TMR 헤드의 개발에 성공.
  • 2002년 : 집행임원제(執行役員制) 도입.
  • 2005년 : PMR (수직 자기기록 소자)(垂直磁気記録素子) 헤드 판매/아키타 현(秋田県) 니카호시에 TDK 역사관 신설/리튬이온중합체(ポリマーリチウム) 배터리 제조/판매회사 Amperex Technology Ltd. 를 인수/전원 제품(電源製品)의 개발과 제조/판매 회사 람다파워 그룹(ラムダパワーグループ)을 인수.
  • 2007년 : 기록미디어 판매 사업을 미국의 Imation Corp.에 양도.
  • 2009년 : 페라이트의 발명과 산업화(フェライトの発明とその工業化)가 IEEE(미국전기전자학회) 인증을 받음.
  • 2012년 : 디스프로슘 (Dy) 프리 자석(フリー・マグネット)을 개발.
  • 2014년 : 미디어 기록 사업 철수/페라이트가 "전후(戦後) 일본의 100개 혁신"에 선정.
  • 2016년 : TDK 역사 미래관 오픈.
  • 2017년 : Qualcomm Incorporated과의 업무 제휴 및 합작 회사 설립/센서 제조 업체 InvenSense, Inc.를 인수/ASIC (特定用途向け集積回路)의 개발업체 ICsense NV를 인수.
  • 2018년 : ToF 방식의 MEMS 센서 제조 업체 Chirp Microsystem, Inc.를 인수/플라즈마 발생 장치 제조업체 Relyon Plasma GmbH를 인수/3D 임베디드 파워 솔루션 설계 회사 Faraday Semi LLC를 인수.
  • 2019년 : TDK Ventures, Inc.를 설립.

주요 제품[편집]

수동회로(Passive Components)[편집]

스마트폰, PC, 자동차 등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센서 관련 제품(Sensor Application Products)[편집]

온도 및 압력, 자기 및 MEMS 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 시리즈 제품으로 고기능, 고부가가치 센서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성 관련 제품(Magnetic Application Products)[편집]

자성 관련 사업을 80년 이상 해왔고 현재 제품은 클라우드 서버, 자동차 부문, 기초산업과 에너지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관련 제품(Energy Application Products)[편집]

ICT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제품이며 xEV용 자동차 전원 공급 장치에도 사용하고 있다.

TDK ASIC  
전고체 배터리  
변압기관련제품  
센서관련제품  
인덕터  
자석  
전압 전류 온도 보호장치  
커패시터  
TDK 페라이트 및 부품  

전고체 배터리[편집]

전고체 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없는 배터리이며 크기도 절반 정도 줄어지고 휘어지는 배터리를 만들 수도 있다. 몇 년 동안 사용해도 배터리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2020년 3월 10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이런 '꿈의 배터리'에 한 걸음 다가섰다고 했는데 그 근거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에너지에 전고체 배터리의 원천기술을 게재한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를 리튬이온(Li)이 오가면서 충전과 방전을 하는 원리이다. 폭발 위험이 있다 보니 아주 촘촘한 밀도로는 만들지 못해 소형화에 불리하다. 구부리기도 힘들고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점점 열화된다. 스마트폰 배터리가 몇년 쓰면 점점 충전량이 줄어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TDK의 '세라차지(CeraCharge)'는 세라믹 재료를 활용한 전고체 배터리인데 수밀리미터 정도로 아주 작은 배터리이다. 예하면 실내에 사물인터넷(IoT) 기기인 온도·습도 측정기에다 이 세라차지를 탑재해 낮에 태양에너지로 충전하여 24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엔 자동차 제조사들이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전기차에 전고체 배터리를 쓰면 리튬이온배터리를 쓸 때보다 1회 충전 시 운행 거리가 월등하게 길어지기 때문이다. [2]

EPCOS/TDK CeraCharge™충전식 고체 SMD 배터리[편집]

고체 SMD 배터리는 SMD 기술을 사용한 최초로 되는 고체 충전식 배터리이다. 세라차지(CeraCharge)는 최대 1,000회의 충전/방전 주기를 수행할 수 있고 리플로 솔더링 기법을 사용한 손쉬운 배치 및 처리를 허용한다. TDK CeraCharge는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다층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은 부피가 세라믹 다층 구성 요소의 안전 및 대량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체 세라믹 소자를 사용하므로 화재, 폭발 또는 액체 전해질 누출 위험이 없다. 고체 SMD 배터리는 4.4 x 3 x 1.1mm 패키지로 제공되며 1.5V의 정격 전압에서 100µAh의 공칭 용량을 제공하며 이런 배터리는 실시간 클록, BLUETOOTH® 비컨 및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비롯한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3]

특징
  • 에너지 저장 및 전원 공급 장치 충전.
  • EIA 1812 케이스 크기에 맞는 SMD설계.
  • 세라믹 구조로 폭발, 연소, 액체 누출 위험이 없음.
  • SMT 호환 칩, 무연 리플로 솔더링 가능.
  • RoHS 준수.
  • 리튬기반 세라믹 산화물 전해질/전극 및 구리 충전 컬렉터.
  • 스퍼터 증착 CR/Ni/Ag 단자 전극.
애플리케이션
  • 사물인터넷.
  • 비컨.
  • 예비 전력 공급장치.
  • 실시간 클록.
  •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용 에너지 스토리지.
  • 전압 및 전류 평활화를 위한 보조 배터리.
  • 웨어러블 기기.
사양
  • 공칭 전압: 1.5V
  • 표준 작동 전압: 0~1.6V
  • 최대 충전 전압: 1.8V
  • 공칭 용량: 100µAh
  • 공칭 방전 전류: 20µA
  • 작동온도범위: -20~+80°C

한국 내 자회사[편집]

TDK 전자 한국[편집]

  • 서울시 서초구에 있는 티디케이전자한국㈜은 2011년 4월 티디케이이피씨 전자한국㈜으로 설립되어 훼라이트코아파워 인덕터 등의 전자제품 판매 등 업무를 하다가 2014년 4월 현 상호(티디케이전자한국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2020년 3월 말 기준으로 총자산이 77,935백만 원/2020년 회계연도(2019년 4월 1일~2020년 3월 31일) 매출액 233,580백만 원을 달성하였고, 종업원 수 62명(2020년 4월 기준) 규모의 기업이다. 현재 티디케이전자한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본사를 두고, TDK 그룹사의 세라믹콘덴서파워 인덕터 등의 전자제품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취급품은 Inductor, Chip Capacitor, RF Component, T-Sensor, Varistor, Magnet 등이 있다. 삼성전자㈜, 엘지전자㈜, 현대모비스㈜, 엘지이노텍㈜, 퀄컴, 등 국내 중-대형 전자제품, 자동차부품 제조업체를 주 거래처로 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공급하는 장비 및 상품들은 전량 모회사인 일본 TDK Corporation 및 TDK 그룹사로부터 매입하고 있다.

TDK 한국[편집]

  •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TDK한국은 1973년 서울에서 창립하여 2011년 평택에서 한국의 제조 거점으로 있으며 전자부품의 기본 소재인 페라이트로 시작하여, 페라이트 코어와 각종 가전 제품용 인덕터, 자동차용 노이즈 필터 등을 생산하고 있다. TDK의 한국투자법인으로 전자산업 필수 소재인 페라이트의 생산을 진행하고 있고 그 후 전자산업발전에 참여해 코일, 콘텐서, 트랜스, 필터 등으로의 생산도 확대해가고 있다.

TDK와 중국 배터리회사 ATL 및 CATL의 관계[편집]

  • 1999년 쩡위췬(曾毓群, zēng yù qún)이 설립한 ATL은 애플오더의 성공으로 배터리업계의 선두기업으로 발전하였고 둥관(东莞)공장에 이어 닝더(宁德)에도 공장을 지었다. 2005년 TDK이 ATL 100% 주식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ATL에서 물러난 뒤 2011년 쩡위췬은 CATL을 세웠는데 그 주식 15%는 역시 TDK이 소유하였고 배터리 핵심기술 또한 TDK이 제어하고 있었다. 중국 정부의 '배터리생산에 외국계 투자는 금지'라는 협상이 안되는 규정에도 TDK는 정위췬의 또 다른 중국회사 닝보랜촹(宁波联创)을 통해 사실상 회사제어를 계속하는 등 방법을 잘 찾아갔고 ATL 및 CATL과 보이지 않지만 끊을 수 없는 매듭을 지었다. ATL과 CATL의 작은 발전에도 TDK는 큰 발전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2021년에 ATL은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과 2조 원 규모의 투자 합작 계획을 발표했으며 저장용 에너지 장치·전기자전거·전기스쿠터 등에 탑재할 중형 배터리의 배터리셀과 배터리팩 연구·개발·생산 및 판매인 것으로 알려졌다.[4]
  • TDK는 2021년 4월 28일, 중국 CATL과 합자회사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합자회사는 일본 TDK의 배터리 제어소재와 이를 제어하는 기술과 중국 CATL의 배터리 제작기술을 두 회사가 서로 상호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초기는 중국 전기 오토바이용 배터리 생산에 제한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차차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TDK(기업)〉, 《위키백과》
  2. 이동 성호철 최인준 기자, 〈화재 위험 없는 '꿈의 배터리'가 온다〉, 《조선일보》, 2020-03-19
  3. 이동 EPCOS / TDK CeraCharge™ 충전식 고체 SMD 배터리〉, MOUSER, 2021-04-16
  4. 이동 양지혜 기자, 〈中 최대 배터리업체 CATL, ATL과 2조원 투자 합작 회사 2개 설립〉, 《코노믹》, 2021-04-29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TDK 문서는 배터리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